ELI LILLY & Co
10-K
ELI LILLY & CO (LLY) 기업 분석 리포트
작성일: 2025년 2월 19일 데이터 기준: 2024년 12월 31일 (10-K 보고서)
목차
I. 기업 및 사업 개요
II. 주요 위험 요소 분석
III. 핵심 재무 하이라이트
IV. 세부 재무 분석
V. 종합 평가 및 투자 시사점
I. 기업 및 사업 개요
Eli Lilly and Company(이하 ‘릴리’)는 1876년 설립되어 1901년 법인으로 전환된 글로벌 제약사로, 인간용 의약품의 발견, 개발, 제조 및 판매라는 단일 사업 부문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미국, 푸에르토리코, 유럽, 아시아 등지에 제조 시설을 두고 있으며, 전 세계 약 95개국에서 제품을 판매합니다.
릴리의 핵심 사업은 다음 네 가지 치료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 카디오메타볼릭 (Cardiometabolic Health): 당뇨병 치료제인 마운자로(Mounjaro), 자디앙(Jardiance), **트루리시티(Trulicity)**와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Zepbound)**가 핵심 제품입니다. 특히 마운자로와 젭바운드는 회사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동력입니다.
- 항암 (Oncology):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버제니오(Verzenio)**를 필두로 위암 치료제 사이람자(Cyramza), 림프종 치료제 자이피르카(Jaypirca) 등 다양한 항암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면역 (Immunology):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에브글리스(Ebglyss),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옴보(Omvoh), 건선 치료제 탈츠(Taltz) 등이 주요 제품입니다.
- 신경과학 (Neuroscience): 알츠하이머 치료제 **키선라(Kisunla)**와 편두통 치료제 **앰겔러티(Emgality)**를 통해 신경계 질환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전통적인 영업사원 및 도매 유통 채널과 더불어, 최근에는 **릴리다이렉트(LillyDirect)**라는 소비자 직접(DTC)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을 출시하여 비만, 편두통, 당뇨병 환자에게 직접 의약품을 배송하는 새로운 유통 모델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II. 주요 위험 요소 분석
릴리의 사업은 여러 중대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향후 재무 성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지적 재산권 및 특허 만료: 릴리의 수익 대부분은 특허로 보호받는 소수의 제품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핵심 제품 중 하나인 트루리시티는 향후 몇 년 내에 주요 특허 및 데이터 보호 기간이 만료될 예정으로, 이는 바이오시밀러(복제약) 출시로 이어져 해당 제품의 매출이 급격히 감소할 위험이 있습니다. 실제로 특허 보호 상실은 과거에도 회사의 특정 제품 매출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습니다.
-
정부 규제 및 약가 압박: 미국 정부가 시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릴리의 사업에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입니다. 이 법안에 따라 정부는 특정 의약품의 가격을 직접 협상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미 협력사 제품인 자디앙이 2026년부터 66%의 대폭적인 약가 인하가 적용될 첫 대상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향후 릴리의 다른 주요 제품들도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 매출 및 수익성 악화가 예상됩니다.
-
공급망 및 제조 문제: 마운자로와 젭바운드 같은 인크레틴 계열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생산 능력을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회사는 생산 시설 증설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나, 신규 시설 가동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경쟁사에 시장 점유율을 잃을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 매출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원자재 수급을 중국에 일부 의존하고 있어 지정학적 긴장 고조 시 공급망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열한 시장 경쟁: 릴리는 다국적 제약사, 바이오테크 기업,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제조업체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만 치료제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경쟁 제품의 출시나 새로운 치료 방식의 등장은 릴리 제품의 시장 점유율과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법적 소송
회사는 현재 여러 건의 중대한 법적 소송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상당한 재무적 부담과 평판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인슐린 가격 소송: 2017년부터 소비자와 주 정부 등을 포함한 다수의 원고가 릴리를 상대로 인슐린 가격 담합 및 불공정 거래 관행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부분의 소송은 뉴저지 연방 법원에서 다수의 소송을 병합하여 심리하는 절차(MDL)가 진행 중이며, 패소 시 상당한 규모의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40B 의약품 할인 프로그램 소송: 회사는 의약품 할인 프로그램(340B)의 계약 약국 정책과 관련하여 미국 보건복지부(HHS) 및 다수의 의료 기관과 법적 분쟁을 겪고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과 비용 부담에 대한 근본적인 이견으로, 소송 결과에 따라 관련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마운자로 및 트루리시티 제품 책임 소송: 2023년 8월부터 마운자로, 트루리시티 등 인크레틴 계열 약물 사용 후 부작용을 주장하는 다수의 제품 책임 소송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소송들은 현재 펜실베이니아 동부 연방 법원에서 MDL 절차로 통합되어 있으며, 향후 소송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III. 핵심 재무 하이라이트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4년 | 2023년 | 전년 대비 |
---|---|---|---|
총자산 | 787.1 | 640.1 | +23.0% |
순이익 | 105.9 | 52.4 | +102.1% |
영업활동 현금흐름 | 88.2 | 42.4 | +108.0% |
2024년 릴리는 모든 핵심 재무 지표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순이익은 두 배 이상 급증했으며,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된 현금흐름 역시 100% 이상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신제품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매출 증대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총자산 증가는 주로 신규 생산 시설 확보를 위한 유형자산 투자 확대에 기인합니다.
IV. 세부 재무 분석
손익계산서 분석
주요 항목 (단위: 억 달러)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매출 | 450.4 | 341.2 | 285.4 |
매출원가 | 84.2 | 70.8 | 66.3 |
연구개발(R&D) 비용 | 109.9 | 93.1 | 71.9 |
마케팅, 판매 및 관리(SG&A) 비용 | 85.9 | 74.0 | 64.4 |
인수된 무형자산(IPR&D) 비용 | 32.8 | 38.0 | 9.1 |
영업이익 | 137.6 | 65.3 | 73.7 |
세전이익 | 126.8 | 65.5 | 68.1 |
순이익 | 105.9 | 52.4 | 62.4 |
2024년 매출은 전년 대비 32% 급증한 45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주로 당뇨 및 비만 치료제인 마운자로(115억 달러, +124%)와 젭바운드(49억 달러), 그리고 항암제 버제니오(53억 달러, +37%)의 판매 호조에 힘입은 것입니다. 반면, 경쟁 심화와 공급 제약의 영향을 받은 트루리시티의 매출은 26% 감소했습니다.
매출 총이익률은 79.2%에서 81.3%로 개선되었는데, 이는 고수익 신제품의 판매 비중 확대에 따른 것입니다.
영업비용 측면에서는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연구개발(R&D) 비용은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18% 증가했으며, 마케팅, 판매 및 관리(SG&A) 비용 역시 신제품 출시 및 프로모션 활동 강화로 16% 증가했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Morphic사 인수로 인해 32.8억 달러의 대규모 무형자산(IPR&D) 상각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매출 성장에 힘입어 순이익은 102%라는 경이적인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대차대조표 분석
주요 항목 (단위: 억 달러) |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2월 31일 |
---|---|---|
총자산 | 787.1 | 640.1 |
유형자산(PP&E), 순액 | 171.0 | 129.1 |
영업권(Goodwill) | 57.7 | 49.4 |
총부채 | 644.4 | 531.4 |
장기 부채 | 285.3 | 183.2 |
총자본 | 142.7 | 108.6 |
2024년 말 기준 총자산은 전년 대비 23% 증가한 78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폭발적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 시설 확충으로 **유형자산(PP&E)**이 42억 달러가량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총부채는 64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습니다. 특히 장기 부채가 102억 달러 이상 큰 폭으로 늘어났는데, 이는 신규 시설 투자 및 자사주 매입, 인수합병 자금 조달을 위한 회사채 발행의 결과로 분석됩니다. 부채 증가는 재무 레버리지를 높였으나, 회사의 강력한 현금 창출 능력을 고려할 때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총자본은 순이익 증가와 자사주 매입 효과가 반영되어 31% 증가한 143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회사는 2024년 한 해 동안 2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2024년 12월에 15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하며 적극적인 주주환원 의지를 보였습니다.
현금흐름표 분석
주요 항목 (단위: 억 달러)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88.2 | 42.4 | 75.9 |
투자활동 현금흐름 | (93.0) | (71.5) | (37.6) |
유형자산 취득 | (50.6) | (34.5) | (18.5) |
IPR&D 매입 | (33.5) | (39.4) | (11.3) |
재무활동 현금흐름 | 12.3 | 35.0 | (54.1) |
장기부채 발행 | 114.2 | 39.6 | - |
자사주 매입 | (25.0) | (7.5) | (15.0) |
배당금 지급 | (46.8) | (40.7) | (35.4) |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순이익 급증에 힘입어 전년 대비 108% 증가한 88억 달러를 기록하며 강력한 현금 창출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93억 달러의 순유출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한 유형자산 취득에 51억 달러, Morphic 등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IPR&D 매입에 33억 달러를 지출하는 등 미래 성장을 위한 공격적인 투자가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12억 달러의 순유입을 보였습니다. 회사는 114억 달러의 장기 부채를 신규 발행하여 확보한 자금으로 **배당금 지급(47억 달러)**과 자사주 매입(25억 달러) 등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투자 자금을 충당했습니다. 회사는 2025년 1분기 배당금을 주당 1.50달러로 인상하며 지속적인 주주가치 제고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V. 종합 평가 및 투자 시사점
종합 평가
Eli Lilly는 현재 역사적인 성장 변곡점을 지나고 있습니다. 당뇨 및 비만 치료제인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폭발적인 성공은 회사의 재무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이는 순이익과 영업 현금흐름의 경이적인 성장률로 증명됩니다. 회사는 이 기회를 활용해 생산 시설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유망한 파이프라인을 인수하며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의 이면에는 두 가지 핵심적인 도전 과제가 존재합니다. 첫째는 공급 능력의 한계입니다. 폭증하는 수요를 생산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은 단기적으로 매출 성장의 발목을 잡고 경쟁사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둘째는 미국 정부의 약가 인하 압력입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릴리의 핵심 제품들의 장기적인 수익성에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하며, 이는 이미 자디앙의 사례에서 현실화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릴리는 강력한 신약 포트폴리오와 R&D 능력을 바탕으로 한 독보적인 성장 기업이지만, 외부의 규제 환경 변화와 내부의 생산 능력이라는 중대한 변수를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복합적인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투자자를 위한 관전 포인트
-
인크레틴 의약품의 생산 및 공급 동향: 투자자는 분기별 실적 발표에서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공급 상황에 대한 경영진의 설명을 면밀히 주시해야 합니다. 노스캐롤라이나, 위스콘신 등 신규 공장의 가동 시점과 생산량 증대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는지 여부가 단기적인 매출 성장률을 결정할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는 시그널은 추가적인 매출 상향 조정의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IRA 약가 협상 대상 품목 확대 여부: 매년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발표하는 약가 협상 대상 의약품 목록에 릴리의 다른 핵심 제품(예: 버제니오, 마운자로/젭바운드 등)이 포함되는지 여부는 장기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자디앙에 적용된 66%의 할인율은 향후 다른 약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 이는 해당 제품의 수명주기 가치를 재평가하게 만드는 핵심 변수입니다.
-
항암 및 신경과학 파이프라인의 진행 상황: 기존 주력 제품에 대한 규제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성장 동력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 **임루네스트란트(Imlunestrant)**나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나네맙(Donanemab) 등 주요 후기 임상 파이프라인의 데이터 발표 및 규제 당국의 승인 여부는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입니다. 이들 분야에서의 성공은 현재의 카디오메타볼릭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