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TCO WHOLESALE CORP /NEW
코스트코 홀세일
10-K 연차 보고서
Costco Wholesale Corp (COST) 2025년 10-K 기업 분석 리포트
I. 기업 및 사업 개요
코스트코 홀세일 코퍼레이션(Costco)은 회원제 창고형 할인매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유통 기업입니다. 핵심 사업 모델은 제한된 종류의 국가 브랜드 및 자체 브랜드(Private-Label)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대량으로 판매하여 높은 판매량과 빠른 재고 회전율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대량 구매, 효율적인 물류, 간소화된 매장 운영을 통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총마진으로도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합니다. 2025년 8월 31일 기준, 코스트코는 미국, 캐나다를 포함한 전 세계 14개 국가 및 지역에서 914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핵심 상품: 식품 및 잡화(건조식품, 캔디, 주류 등), 비식품(가전, 의류, 하드웨어 등), 신선식품(정육, 농산물, 델리, 베이커리)으로 구성됩니다.
- 창고 보조 사업: 주유소, 약국, 푸드코트, 보청기 센터 등이 포함되며, 이는 고객의 매장 방문 빈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2025년 기준, 주유소 사업은 전체 순매출의 약 10%를 차지했습니다.
- 기타 사업: 이커머스, 비즈니스 센터, 여행 상품 판매 등이 포함됩니다. 이커머스 사업은 2025년 순매출의 약 7%를 차지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코스트코의 경쟁력은 강력한 회원제에 기반합니다. 2025년 말 기준 유료 회원 수는 8,100만 명에 달하며, 미국과 캐나다에서의 회원 갱신율은 92.3%라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매 금액의 2%를 리워드로 적립해주는 이그제큐티브(Executive) 회원은 전 세계 매출의 약 73.6%를 차지하는 핵심 고객층입니다. 또한, 높은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자체 브랜드 '커클랜드 시그니처(Kirkland Signature)'는 코스트코의 차별화된 경쟁력이자 수익성 개선의 주요 요인입니다.
II. 주요 위험 요소 분석
코스트코의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특정 지역에 대한 높은 의존도: 2025년 기준, 회사 순매출과 영업이익의 각각 86%, 84%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발생했습니다. 특히 미국 내에서는 캘리포니아주가 순매출의 26%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큽니다. 해당 지역의 경기 둔화나 경쟁 심화는 회사 전체 실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치열한 유통 경쟁: 코스트코는 월마트, 타겟, 크로거, 아마존 등 대형 유통업체 및 다른 창고형 할인매장과 전 세계적으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가격, 상품 구색, 편의성 등에서의 경쟁 심화는 시장 점유율 하락과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공급망 및 원자재 가격 변동: 회사는 다수의 국내외 공급업체로부터 상품을 조달하며, 특정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는 낮습니다. 그러나 노동 분쟁, 자연재해, 무역 정책 변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이나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변동은 상품 원가 상승 및 재고 부족을 야기하여 매출과 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거시 경제 및 환율 변동: 인플레이션, 실업률, 금리 변동 등 국내외 거시 경제 상황은 소비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2025년 기준 해외 사업이 순매출의 27%를 차지하므로, 달러 대비 현지 통화 가치의 변동은 해외 부문의 실적을 미국 달러로 환산할 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IT 시스템 및 사이버 보안: 대규모 거래 처리, 재고 관리, 결제 등 사업 운영 전반이 IT 시스템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장애나 정교해지는 사이버 공격(피싱, 랜섬웨어 등)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또는 서비스 중단은 막대한 복구 비용, 소송, 브랜드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법적 소송
회사는 사업 과정에서 다수의 법적 소송 및 정부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사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캘리포니아주 노동법 위반 관련 집단 소송 및 민간 총괄 대리인법(PAGA) 소송
- 전국 단위의 오피오이드 관련 처방 소송
- 웹사이트의 픽셀 트래커 사용과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집단 소송
- 자체 브랜드 물티슈의 과불화화합물(PFAS) 포함 관련 허위 광고 집단 소송
- 처방약 관련 허위 청구법(False Claims Act) 위반 가능성에 대한 연방 정부 조사
회사는 현재까지 이러한 소송들이 재무 상태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일부 소송에서 불리한 판결이 나올 경우 특정 분기 또는 연도의 실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III. 핵심 재무 하이라이트
2025 회계연도 기준, 코스트코는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총자산, 순이익, 영업활동 현금흐름 등 주요 재무 지표가 전년 대비 모두 긍정적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5년 8월 31일 | 2024년 9월 1일 | 전년 대비 |
---|---|---|---|
총자산 | 771.0 | 698.3 | +10.4% |
순이익 | 81.0 | 73.7 | +9.9% |
영업활동 현금흐름 | 133.4 | 113.4 | +17.6% |
IV. 세부 재무 분석
손익계산서 분석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5년 | 2024년 | 2023년 |
---|---|---|---|
총 매출 | 2,752.4 | 2,544.5 | 2,422.9 |
상품 매출 | 2,699.1 | 2,496.3 | 2,377.1 |
회원권 수익 | 53.2 | 48.3 | 45.8 |
영업이익 | 103.8 | 92.9 | 81.1 |
순이익 | 81.0 | 73.7 | 62.9 |
2025년 총매출은 2,752억 달러로 전년 대비 8.2% 증가했습니다. 이 중 상품 매출은 2,699억 달러로 8.1% 성장했으며, 이는 기존점포 매출 6% 성장과 신규 매장 출점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특히 수익성이 높은 회원권 수익은 신규 회원 증가와 2024년 9월부터 시행된 연회비 인상 효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한 53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03.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8% 증가하여 매출 성장률을 상회했습니다. 이는 매출 총이익률이 20bp(0.2%p) 개선되고 판매관리비(SG&A)를 효율적으로 통제한 결과입니다. 결과적으로 순이익은 81억 달러로 전년 대비 9.9% 증가했습니다.
대차대조표 분석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5년 8월 31일 | 2024년 9월 1일 |
---|---|---|
총자산 | 771.0 | 698.3 |
총부채 | 479.4 | 462.1 |
총자본 | 291.6 | 236.2 |
2025년 말 기준 총자산은 77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습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99억 달러에서 142억 달러로 크게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총부채는 479억 달러로 3.7% 증가에 그쳐, 부채 비율(총부채/총자산)은 2024년 66.2%에서 2025년 62.1%로 개선되었습니다. 장기 부채는 약 57억 달러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총자본은 292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5% 증가했습니다. 이는 순이익 증가에 따른 이익잉여금 누적($226.5억)이 주요인으로, 견고한 이익 창출 능력이 재무구조 안정성 강화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현금흐름표 분석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5년 | 2024년 | 2023년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133.4 | 113.4 | 110.7 |
투자활동 현금흐름 | -53.1 | -44.1 | -49.7 |
재무활동 현금흐름 | -37.8 | -107.6 | -26.1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141.6 | 99.1 | 137.0 |
2025년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된 현금은 133.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7.6% 증가하며 강력한 현금 창출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53.1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주로 신규 및 이전 매장 설립을 위한 자본적 지출(55억 달러)에 기인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37.8억 달러로, 주로 주주 환원 정책에 자금이 사용되었습니다. 회사는 21.8억 달러를 배당금으로 지급했으며, 9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습니다. 2023년 1월에 승인된 4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에 따라, 2025년 말 기준 약 19.6억 달러의 매입 한도가 남아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2025년 4월 분기 배당금을 주당 1.16달러에서 1.30달러로 12% 인상하며 지속적인 주주 환원 의지를 보였습니다.
V. 종합 평가 및 투자 시사점
종합 평가
코스트코는 2025년 회계연도에 매출, 이익, 현금흐름 전반에 걸쳐 견고한 성장을 달성하며 강력한 사업 모델과 시장 지배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높은 회원 충성도와 갱신율에 기반한 안정적인 회원권 수익은 경기 변동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이익을 창출하는 핵심 동력입니다. 또한, 효율적인 비용 구조와 자체 브랜드 '커클랜드 시그니처’의 경쟁력은 인플레이션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마진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의 핵심 과제는 치열한 유통 시장 경쟁 속에서 성장을 지속하고 수익성을 방어하는 것입니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해당 지역의 경기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는 요인입니다. 따라서 향후 성장은 해외 시장 확장과 이커머스 채널 강화의 성공 여부에 크게 좌우될 것입니다. 다수의 법적 소송이 진행 중인 점은 잠재적 위험 요인이지만, 현재까지 회사는 재무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를 위한 관전 포인트
- 회원권 수익 및 갱신율: 코스트코의 핵심 경쟁력은 충성도 높은 회원 기반입니다. 따라서 분기별로 발표되는 회원권 수익 증가율과 전 세계 회원 갱신율(현재 89.8%)의 변화는 회사의 펀더멘털 건강 상태를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선행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둔화될 경우, 경쟁 심화나 회원 만족도 하락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매출 총이익률(Gross Margin) 동향: 2025년 기준 11.12%를 기록한 매출 총이익률은 회사의 가격 정책과 비용 관리 능력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향후 실적 발표에서 회사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가 상승 압력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지, 아니면 ‘가격 권위’ 유지를 위해 자체적으로 흡수하는지를 주시해야 합니다. 특히 변동성이 큰 주유 사업을 제외한 핵심 상품 카테고리의 이익률 변화를 통해 수익성의 본질적인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해외 및 이커머스 사업 성장세: 미국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코스트코의 장기 성장 동력은 해외 사업과 이커머스에 있습니다. 2025년 각각 8%, 16%의 높은 성장률을 보인 ‘기타 해외(Other International)’ 부문과 '이커머스’의 기존점포 매출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신규 시장 안착과 디지털 전환 전략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