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TCO WHOLESALE CORP /NEW
코스트코 홀세일
10-Q 분기 보고서
코스트코 (COSTCO WHOLESALE CORP /NEW) 2025년 3분기 실적 분석 리포트
I. 최근 분기 핵심 요약
코스트코는 2025년 3분기(2025년 5월 11일 종료)에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순매출은 8% 증가한 619.6억 달러, 순이익은 13.2% 증가한 19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기존 매장의 동일 매장 매출(comparable sales) 증가와 29개의 신규 매장 출점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II. 주요 재무 지표 변화 분석
손익 및 현금흐름 분석 (전년 동기 대비)
회계연도 3분기(12주) 및 누적 36주 기간 동안, 매출과 이익 모두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상품 매출 총이익률 개선이 전체적인 수익성 향상을 이끌었으나, 직원 임금 인상 등으로 인한 판매관리비 증가는 일부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주요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5년 3분기 (12주) | 2024년 3분기 (12주) | 변화율 |
---|---|---|---|
순매출 | 619.7 | 573.9 | +8.0% |
영업이익 | 25.3 | 22.0 | +15.0% |
순이익 | 19.0 | 16.8 | +13.2% |
주요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5년 누적 (36주) | 2024년 누적 (36주) | 변화율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94.7 | 83.8 | +13.0% |
매출 분석: 3분기 순매출은 8% 증가했으며, 이는 동일 매장 매출 6% 성장과 신규 매장 효과가 결합된 결과입니다. 특히 전자상거래(E-commerce) 부문은 1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전체 매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다만, 유가 하락과 달러 강세로 인한 부정적인 환율 효과가 각각 1.12%p, 1.22%p 씩 매출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수익성 분석: 3분기 매출 총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0.41%p 상승한 11.2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신선식품(Fresh Foods)과 식품 및 잡화(Foods and Sundries) 카테고리에서의 마진 개선이 주된 요인이었습니다. 반면, 판매관리비(SG&A)는 매출 대비 9.16%로 전년 동기(8.96%) 대비 소폭 상승했는데, 이는 직원 임금 투자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영업이익은 15% 증가하며 매출 성장률을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현금흐름 분석: 2025 회계연도 누적 36주간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94.7억 달러로, 전년 동기 83.8억 달러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이는 순이익 증가와 재고 관리 개선 효과에 기인합니다.
재무상태 분석 (전년 연말 대비)
2025년 3분기 말 자산, 부채, 자본은 모두 연초(2024년 9월 1일) 대비 증가했습니다. 견고한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된 현금이 자산 증가를 이끌었으며, 이익잉여금 누적으로 자본 건전성 또한 강화되었습니다.
주요 지표 (단위: 억 달러) | 2025년 5월 11일 | 2024년 9월 1일 | 변화율 |
---|---|---|---|
총자산 | 754.8 | 698.3 | +8.1% |
총부채 | 483.6 | 462.1 | +4.6% |
총자본 | 271.2 | 236.2 | +14.8%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138.4 | 99.1 | +39.6% |
재고 자산 | 186.1 | 186.5 | -0.2% |
자산 분석: 총자산은 8.1% 증가했으며, 특히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39.6% 급증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견조한 영업 현금흐름 창출에 따른 것입니다. 또한, 신규 매장 및 설비 투자 확대로 유형자산(Property, Plant and Equipment)도 15.5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부채 및 자본 분석: 총부채는 4.6% 증가에 그쳐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총자본은 순이익이 이익잉여금으로 누적되면서 14.8%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 재무 안정성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III. 단기적 위험 및 현안
회사는 연례 보고서(10-K)에 기재된 기존 위험 요인 외에 중대한 변경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경영진의 논의 내용과 재무제표 주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잠재적 위험 및 현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거시 경제 변동성: 환율 변동, 인플레이션, 경쟁 심화 등 거시 경제 상황은 코스트코의 매출과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실제로 이번 분기에도 달러 강세는 해외 부문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습니다.
- 법적 소송: 현재 다수의 소송이 진행 중입니다. 특히 웹사이트의 픽셀 트래커 사용과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소송(
Castillo v. Costco
)과 유아용 물티슈 성분 관련 소송(Bullard, et ano., v. Costco
)에서 회사의 기각 신청이 일부 받아들여지지 않아 소송이 계속 진행될 예정입니다. 또한, 처방약 관련 허위 청구법(False Claims Act) 위반 혐의로 연방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회사는 현재까지 이러한 소송들이 재무 상태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개별 분기 실적에는 영향을 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IV. 종합 평가 및 투자 시사점
종합 평가 코스트코는 2025년 3분기,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강력한 브랜드 충성도와 사업 모델의 저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신규 매장 출점과 기존 매장의 꾸준한 성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외형 성장을 이어갔으며, 특히 핵심 상품군에서의 마진 개선을 통해 수익성을 성공적으로 방어했습니다. 이는 회사의 뛰어난 상품 소싱 능력과 비용 관리 역량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다만, 직원 임금 인상에 따른 판매관리비 증가는 장기적인 인재 확보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이익률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핵심 이슈입니다. 또한, 웹사이트 개인정보 및 제품 성분 관련 소송 등 법적 현안들은 잠재적 우발 부채 리스크로 남아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투자자를 위한 관전 포인트
-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 지속성: 유가 및 환율 효과를 제외한 핵심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이번 분기 8%)은 코스트코의 근원적인 경쟁력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향후에도 이 성장세가 견고하게 유지되는지 여부가 전체 실적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입니다.
- 영업이익률 추이: 매출 총이익률 개선세가 판매관리비 증가율을 상쇄하며 영업이익률을 방어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지가 향후 수익성의 핵심입니다. 특히, 인건비 부담을 뛰어넘는 운영 효율화 성과가 나타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멤버십 갱신율 및 수수료: 코스트코의 핵심 수익원인 멤버십 수수료는 10% 증가했으며, 미국/캐나다 갱신율은 92.7%로 여전히 높습니다. 향후 멤버십 수수료 인상 가능성과 높은 갱신율 유지는 장기적인 이익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므로, 관련 발표에 주목해야 합니다.